예상치 못한 오바마의 패배

2012.10.05 01:27

bulletproof 조회 수:3888

어제 미 대선후보 토론에서 오바마가 롬니에게 완패했더군요. '블랙 케네디'로 칭송받던 오바마가 기죽은 모습을 보이니 안타까웠어요. 근데 내용을 보면 롬니는 어쨋든 뻔한 얘기를 하면서도 능수능란하게 공격을 잘 하네요. 의외의 재능이 있어요. 정작 변호사 출신은 오바마인데 롬니가 더 변호사같은 면모를 보인 느낌입니다. 오히려 미국에선 이런 이미지가 비호감일 수도 있을 거같은데.

오바마캠프는 지지율만 믿다가 큰 코 다친 거죠. 그래도 전반적으로는 오바마캠프가 전략을 잘 짜고는 있지만 믿는 도끼에 발등찍힌다거나 만만하게 보던 과목에서 피보는 경우라고 할 수 있겠죠. 아직까진 두 번의 기회가 더 있으니 아무쪼록 만회했으면 합니다.

아무리 잘 준비해도 결국은 전략싸움에서 오바마가 불리할 수밖에 없어요. 롬니가 내세우는 건 단지 '미국다움이 무엇인가'이죠. 미국 경제 어렵고 힘든 건 알겠는데 어쨋든 정부지출 강화와 복지를 위한 증세는 '미국식 해법'이 아니라고 못박는 겁니다. 세계 최강대국 국민들이 자신들 체제의 패배를 쉽게 인정하긴 어려울테니 어떻게 보면 감정에 호소하는 전략입니다.

따지고 보면 공화당의 전략은 참 일관적이에요. 깅리치의 선거혁명 당시에도 슬로건은 '미국과의 계약' - 즉, 우리 조상들은 미국을 건국할 때 절대 큰정부를 구상하지 않았다 - 이고 오바마를 비판하는 만평에서는 그를 미국이 아닌 EU 대통령으로 묘사하기도 했죠. 이에 대한 정공법은 제 예상컨대 눈에는 눈, 코에는 코라고 역시 역사에서 정당성을 얻는 거아닐까 싶어요.

토마스 제퍼슨. 민주당 입장에서 제퍼슨만큼 자신들의 프로파간다에 역사적 정통성을 부여하는 인물이 없죠. 버지니아 종교개혁법(인류 역사상 최초의 정교분리 선언!)을 작성했고 계몽주의적 정치관을 가졌던 사람이 건국의 아버지 중에 포함되어 있으니 나름 든든하지 않겠습니까. 텍사스에선 역사교과서에서 제퍼슨을 삭제하자는 움직임까지 있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사실 이양반도 반연방주의자라 큰정부를 지지하는 데 이용해먹긴 힘들듯. 결국은 FDR과 JFK의 이름을 빌려 미국민들을 감동시키는 수밖에 없으려나요. 어쨋든 다음 토론에선 오바마의 선전을 기원해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961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2995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36715
59561 게시판 글들을 보다 보면 [11] 촤알리 2012.10.14 2967
59560 지겹게도 다시 강남스타일 관련 글 + 오스트레일리아 클래식 그룹 Aston 리메이크 [1] ANF 1892 2012.10.14 1907
59559 바낭) 며칠전 술마시다가 있었던 일. [9] Ruthy 2012.10.14 3374
59558 요새 영화 흥행성적이 이상한데 조작이 아닐까 의심듬 [15] refrain 2012.10.14 4495
59557 2차대전 밀덕영화 5편인데 빠진게 뭘까요? [15] 무비스타 2012.10.14 2379
59556 토요일밤에 필받아 쓰는 어릴적 통기타 튕겼던 기억 [2] 마음의사회학 2012.10.14 1468
59555 바낭 질문) 위스키도 유통기한이 있나요? [15] keen 2012.10.14 12313
59554 미드+커뮤니티 추천 받을 수 있을까요. [10] 해삼너구리 2012.10.14 2859
59553 새벽 1시 46분 PAT METHENY [1] 밤비 2012.10.14 997
59552 아니 근데 처서때는 모기들이 입 돌아간다면서 [14] 마음의사회학 2012.10.14 2343
59551 Rags to Riches 라는 영화 아세요? (아마 아무도 모르실듯 --;;) [6] handmo 2012.10.14 1444
59550 바낭성듀나인) 지금 공항가면 구할 수 있는 티켓이 있을까요? [20] 시월의숲 2012.10.14 2696
59549 아무리 연기 잘해도 인기 없으면 대학 못가나봐요 [12] 사과식초 2012.10.14 4737
59548 지금까지 본 내한공연 단상 [40] 마음의사회학 2012.10.14 3643
59547 [잡담] 원초적 본능 (20년만의 재감상) [3] 귀검사 2012.10.13 3146
59546 탑밴드가 결승이군요 [41] 허기 2012.10.13 2636
59545 배우 이미연 [4] 메피스토 2012.10.13 3046
59544 우와 수동으로 1등 독식 89억 [9] 가끔영화 2012.10.13 3553
59543 영미현대소설 추천부탁드려요! [30] 두비두밥 2012.10.13 3474
59542 우리집의 배우들 2 >_< [14] hermit 2012.10.13 295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