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제서 잡담 조금 더ㅡ스포 많음

2021.03.13 14:45

daviddain 조회 수:290

이번 주말에 2회차 관람은 좀 힘들 것 같긴 한데 생각나는 것 좀 덧붙여 봅니다.

마지막 살인 보고 저는 많이 알려진 키스 해링의 love 이미지를 떠올렸는데 인터넷에서는 나비를 떠올린 사람도 있더군요. 임무 완수 후 체크하면서 제니퍼 제이슨 리가 파이프와 나비 사진을 보여 줍니다. 파이프는 중학교 교과서에도 실렸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그림, 나비는 변신의 상징으로도 쓰입니다. <양들의 침묵>에서 피해자의 입 안에 남겨진 걸 생각하면 되죠. 자신이 잡아서 죽인 나비를 보며 여주는 죄책감을 느낀다고 했는데 두 번째 살인을 끝내고는 그 말을 하지 않아요. 후임자가 필요했던 제니퍼 제이슨 리에게는 이제 완벽한 후임자가 생긴 셈이죠.

숀 빈이 나옵니다. <반지원정대>에서 still sharp라고 말하며 한편으로 자신의 출세작인 버나드 콘월의 Sharpe에게 오마주를 하던 숀 빈은 이 영화에서도 칼날을 맞습니다. 그런데 여자를 해치울 때는 총이 쓰이고  마지막 살인에도 총이 쓰입니다. 이 차이는 생각해 볼 여지가 있더군요. 숀 빈이 칼맞는 이유에는 숀 빈이 여주가 들어간 콜린에게 자존감에 상처를 주는 인물인 것도 있죠.
Your father is a sadist.

Right on the floor where the employees
they are more exploited.

My father has a habit of submitting
my boys to these tests.

In this case...

I know the psychic scars
Colin's will prove his innocence.



주인공이 남성이었던 각본을 브랜든 크로넨버그가 친분을 통해 알게 된 안드레아 라이즈브로때문에 성별을 바꿨는데 이렇게 되니 가족의 임팩트가 달라집니다. <테넷>의 캣의 동기를 모성애로 설명할 수 있기는 한데 이 영화에서 여주는 가정에 그닥 애착은 없지만 제니퍼 제이슨 리는 옛 삶의 마지막 끈이라고 합니다. Yet still now, I can see

a small thread that comes out of your skull

connecting to a life that I thought you had already abandoned.

Sometimes it only takes this to lose
control, that little thought,

같은 남성이라도 브랜든 크로넨버그가 다룬 여주가 놀란이 여성 인물 다루는 것보다 훨씬 나았습니다.  놀란에게는 죽은 아내 설정을 다시 쓰지 않는 게 그나마 발전인 듯 합니다 ㅋ.

그리고 제니퍼 제이슨 리, 이 영화 보기 전에 <엑시스텐즈>는 안 보셨으면 한 번 보고 가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마지막 장면 보면 묘한 자매애도 느껴지고 여주가 거친 과정을 리는 이미 거쳤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긴 하더군요.


제목인 포제서는 남의 육신을 취하는 주인공 직업도 뜻하지만 남의 기업 꿀꺽 삼키려는 제니퍼 제이슨 리를 뜻할 수도 있죠.


첫 번째 살인에서 취하는 육신이 흑인 여성이고 그걸 이용했다 버리는 게 백인 여성이라 비판의 여지가 있지 않나 싶어요.



잔인한 장면 많아요. 하지만 그건 적절했어요. <테넷>에서 케네스 브라나 캣 학대하는 장면은 감독의 은밀한 취향,악취미같았는데 이 영화는 인물 성격 변화에 관련있어요.


로저 래빗 제작 다큐에서 멜 블랑이 자기 아들만큼 자기 흉내 잘 내는 사람 못 봤다며 성우인 자기 아들 소개했는데 아버지가 잘 하던 걸 아들도 잘 합니다.  <크래쉬>를 많이 잘린 vhs로 보고 원작 찾아 읽고 가끔 생각나고 그러는데 아들 영화도 그래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3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75
115304 영화보고 싶어요 [3] 바다유영 2021.03.31 291
115303 담배는 중독성이 없는 이유 [6] 가끔영화 2021.03.31 840
115302 [게임바낭] 뭐라 설명하기 난감하지만 인상 깊었던 게임, '제네시스 느와르'를 소개합니다 [10] 로이배티 2021.03.31 922
115301 미이라 (1999) [4] catgotmy 2021.03.31 348
115300 하 미세먼지인지 황사인지 너무 심각하네요 [2] 고요 2021.03.30 585
115299 양당체제 [7] Sonny 2021.03.30 760
115298 남자는 언제쯤 불건전한 욕망에서 해방되는가 [7] 예상수 2021.03.30 1402
115297 잡담 - 동물의 숲 포켓캠프, 엔드업, 어느 결말들 [2] 예상수 2021.03.30 310
115296 (영화)이웃사촌화)이웃사촌 [1] 왜냐하면 2021.03.30 294
115295 박영선은 왜 나온걸까요? [20] 토이™ 2021.03.30 1891
115294 새벽 잡담... [1] 여은성 2021.03.30 376
115293 미세먼지.. 안녕들 하신가요? [5] 노리 2021.03.30 471
115292 조선구마사 작가 관련 [37] 풀빛 2021.03.29 2057
115291 뜬금없이 창피해질때 2 [2] 메피스토 2021.03.29 463
115290 PC방 여성손님 커피에 소변탄 30대 남 징역 8개월 실형 外 [15] eltee 2021.03.29 1154
115289 문 대통령, ‘전셋값 인상’ 김상조 靑정책실장 전격 경질 [9] 왜냐하면 2021.03.29 1189
115288 최근에 읽은 책 [4] tomass 2021.03.29 633
115287 타이레놀이 효과없는 사람 [14] 프랜시스 2021.03.29 1011
115286 윤복희 젊을 때 목소리 [4] 가끔영화 2021.03.29 359
115285 듀게 게시판이 정말 고마울 때(feat. 조선구마사) [51] Bigcat 2021.03.29 141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