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위에 내리고 있는 빗물은 오펜하이머의 눈물과 슬픔 혹은

인류의 비극을 의미하는 것이었을까요?


몇 장면에 등장하는데 지도가 온통 눈물에 홍수가 난 것처럼 느껴지죠.


이 영화에 대해서 숱한 해석본이 있었지만 저한테는 감정적인 호소력이

상당한 영화였습니다.


항상 놀란은 머리로만 영화를 하는 감독이라고 생각했는데 오펜하이머만은

감정적인 호소력으로 폭발할 것같은 영화였어요.


듀게에서 쓰셨듯이 "솔라시도"에서 시작해서 내내 폭발하고 절정으로 치닫는

영화였죠. 킬리안 머피의 불가해한 눈동자와 절제된 연기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 전체가 감정을 끓어오르게 만들더군요.


듀게에 있는 영화 감상만 읽어도 굉장히 여러 각도에서 이 영화를 느끼게 되죠.

모두의 찬탄에도 불과하고 그렇게 대단치도 않고 그저 지루하고 장황한 영화였다고

느낄 수도 있겠죠.


절대로 영화관에서 이 영화를 보지 않을 거라고 장담했는데

이게 오펜하이머라는 인물의 깊은 내면 심리를 쫓아가는 심리극, 비극적인

인물영화라는 걸 알고서는 영화관에서 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난해하다는 편집에도 불구하고 몇몇 장면에서는 지나칠 정도로 노골적인

메시지를 보여주기도 하고, 눈물씬도 그런것 아니겠느냐라고 했지만

정말 아주 오랜만에 보는 고전적인 영화에요.


아이맥스가 아니더라도, 1달 후가 아니라 빨리 보고 싶었거든요.


내가 기대했던대로 복합적인 내면심리를 다룬 한 인물의 비극이자

역사극이고 정치극이었고, 매우 고전적인 영화였어요.


영화적으로 얼마나 훌륭한지 아닌지를 두고 논쟁이 많지만 그건 저한테

중요하지는 않더군요. 여전히 전 크리스토퍼 놀란의 전체적인 영화를 볼 생각이 없어요.


하지만 오펜하이머를 다시 집에서 조용히 혼자서 음미하면서 몇번이고 보고 싶군요.


과학에 대해서는 전혀 몰라도 상관이 없더군요. 출연하는 과학자들에 대해서는

알고 본다면 더 의미가 있겠지만요. 그 과학자들의 과학적인 업적보다 그 과학자들의

정치적인 배경, 사상, 실제 행보같은거죠.


위대한 과학자들이 너무 다들 짧게 짧게 지나가서,,,스냅샷처럼 보이지만요.


라미 말렉은 전반부에 대사도 없이 배경처럼 지나가지만 청문회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과학자로 출연하죠.


전반적으로 짧게 나오든, 길게 나오든 배우들의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볼만한 가치는

충분한 영화에요. 게리 올드만이 나온다는건 전혀 몰랐는데 말이에요.


킬리안 머피는 앞으로도 훌륭하고 기억할만한 연기를 수없이 보여줄 수 있겠지만

이 영화에서 킬리안 머피의 눈빛을 계속 쫓아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었습니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도 이 영화에서 연기는 정말,,,,"아이언맨" 이후로 그가 어떤 영화에 출연하게

될지 생각하지도 않았는데 이 영화에서의 연기는 정말 아~~~~~


이렇게 길게 주절거리지 않으려고 했는데요.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차분히 읽고 싶어졌습니다. 


- 김혜리의 필름클럽을 듣고 있는데 진 테트록에 대한 아쉬움은

  진 테트록이 이런 식으로 소비되었어야 하나, 사상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어떤 영향을 끼친 사람인지 전혀 다뤄지지 않고 그 정사신으로만 낄낄거리는

  유투브 컨텐츠도 봤지만 오펜하이머를 "평범한" 스캔들로 전락시키려고 했던

 외부의 시선에 비친 어떤 불륜녀 정도로 스케치하고 넘어간 거라고 봐야겠죠.


 진 테트록은 실제로 어떤 여성이었는지는 오펜하이머의 전기를 통해서

 보다 입체적인 살아있는 사람으로 살펴봐야겠죠.


- 크리스토퍼 놀란 영화에서 여성은 늘 희미하거나 피상적인 존재였지 않나요?

  늘 남자들만 가득하거나 여자들은 주변 소품이거나, 그렇지 않았나요.

  오히려 에밀리 블런트가 연기한 키티 캐릭터가 매우 예외적인 경우죠.


- 김혜리 기자가 놀란이 이 영화의 대본은 1인칭 시점으로 쓰고 배우들에게 주었기 때문에

  배우들이 매우 놀랐다고 하면서, 크리스토퍼 놀란이 오펜하이머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관점에서 영화를 만들었을지도라고 하는군요. 꽤 설득력있게 들리는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530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383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2354
124549 [넷플릭스바낭]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비교적 짧은 잡담 [20] 로이배티 2023.10.23 505
124548 잡담, 애프터눈티와 자유 여은성 2023.10.22 208
124547 프레임드 #590 [2] Lunagazer 2023.10.22 75
124546 생각은 실제와 얼마나 부합하는가(이론에는 한계가 있지, 누구나 링 위에 오르기 전에는 그럴싸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아가리를 한대 얻어맞기 전까지는) [2] 상수 2023.10.22 297
124545 이스트반 사보의 중유럽 삼부작 ‘메피스토’ ‘레들 대령’ ‘하누센’ [6] ally 2023.10.22 215
124544 ENTJ에 대해 catgotmy 2023.10.22 194
124543 장르소설 영어 [3] catgotmy 2023.10.22 189
124542 "인셀 테러" 라는 책의 소개기사 입니다. [1] 나보코프 2023.10.22 296
124541 준플 1차전 NC: Ssg [11] daviddain 2023.10.22 114
124540 [영화바낭] 늑대인간 말고 늑대인간 엄마 이야기. '울프킨' 잡담입니다 [3] 로이배티 2023.10.22 213
124539 한국에선 볼 수 없는 이태원참사 다큐 "크러시' [7] 사막여우 2023.10.22 633
124538 수원 점집 금화당을 보니 가끔영화 2023.10.21 323
124537 짧은 바낭ㅡ 와카 전 보고 떠오른 14년 두산 야구 [2] daviddain 2023.10.21 142
124536 플라워 킬링 문 [2] daviddain 2023.10.21 318
124535 프레임드 #589 [4] Lunagazer 2023.10.21 67
124534 양자갈등의 환상 Sonny 2023.10.21 247
124533 [넷플릭스바낭] 남자가 잘못했네요. '페어 플레이' 잡담입니다 [5] 로이배티 2023.10.20 465
124532 마린 르펜,"벤제마 극우 이슬람 사상에 친숙한 거 안다" daviddain 2023.10.20 254
124531 히 트 2 이즈 커밍! [6] theforce 2023.10.20 280
124530 프레임드 #588 [4] Lunagazer 2023.10.20 8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