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나꼼수의 이번 사태가 이토록 커지기까지, 저는 이 사태에 대하여 '처음에는' 별반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해당 게시물들을 꽤 많이 읽었음에도 부러 댓글도 달지 않았고요.

그러나 사태가 진전되는 것을 보면서 느끼는 바가 있어, 한 숟갈 보태봅니다.

 

점입가경이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이제는 이번 일이 나꼼수 내부적 논란을 넘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현상으로 발전했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고민해 볼 가치가 있겠구나 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뒤늦게 관심을 갖게 된 탓에, 나꼼수를 1회도 들은 적이 없고, 김어준씨의 저서도 읽은 바 없습니다.

딴지일보 시절에는 몇 번 들어갔으나 그게 다 입니다. 별다른 적극적인 호오의 표현은 아니고

부러 시간을 내 들을 정도로 매력적인 소재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tv도 없고 인터넷은 주로 회사에서 쓰는 게 전부이므로, 뭔가를 일부러 찾아보거나 듣는 경우가 더 드뭅니다.

 

1.

 

나꼼수를 청취한 적은 없으나, 신문 또는 인터넷상에서 곁눈질로 보고 느낀 바로

제가 생각하는 나꼼수의 핵심적인 힘은 '컨텐츠'에서 나오는 것 이었습니다.

국회의원이고 기자인 멤버들의 신분과 통찰력으로 기존 언론의 틈새를 파고든거죠.

 

아젠다 세팅은 딴지일보 총수인 김어준씨의 특기라고 생각하고,

그를 중심으로 뜻을 같이하는 이들이 각자의 실력 또는 신분을 이용해 일반인들은 접근하기 힘든 정보에 접근하고, 취재하고, 검증하여

기존 언론에서 무의미해진 비판기능(어쩌면 폭로의 기능)을 수행한 것이 사람들에게 '먹힌' 거겠지요.

나꼼수를 본딴 다른 팟캐스트 방송들이 생기고 있지만 저는 그것이 나꼼수만큼 힘을 받을 수 없는 이유가 

이들의 '아젠다 세팅 능력' '콘텐츠 생산 능력'에 있다고 생각합니다두고 봐야 알긴 하겠지만요.

 

그러나 현 정권 하에서 이것은 어쩌면 매우 위험한 일입니다.

저는 이들이 '3류저질막장정치개그쇼(? 이 비슷한 수식어가 붙는 게 맞지요? 정확하지 않아 생각나는 걸 다 붙여보았습니다)'로서

팟캐스트라는 미디어를 활용하는 방식 자체가

스스로의 발언권을 확보하기 위한 형식상 보호막의 기능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선동적인 폭로와 당당한 편향성은 만약 스스로를 '언론' 으로 위치짓는다면 여러 측면에서 공격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제가 정부관계자라면 단지 나꼼수가 파워가 있어서 골치아픈 것만은 아닐겁니다.

 

정식 언론이라면 뭔가 반박자료를 내고 해명을 하고 하다못해 오마이뉴스나 프레시안에 그랬던 것처럼 빨갱이 뉴스라고 세뇌라도 시킬텐데

뭔가 그렇게 정식으로 대응하기에 참 체면이 안서는 겁니다. 정식 언론이 아니니 기존 규제로는 해결되지 않고, 공정하라고 요구할수도 없고

이를테면 1인 미디어에 더욱 가까운 팟캐스트를 규제하기에는 문제가 더 커져버립니다.

 

어찌보면 시시껄렁한 잡담이나 하는 3류 저질들같기도 한데(아니 자기들이 그렇다는데), 거슬리는 소리는 (언론보다더 하고,

어떤 수위로 반응해야 할 것인가, 무시하는 게 최선인가배후는 누구인가, 빨갱이인가 양아치인가! 머리가 아픈거죠.

한 멤버를, 어떤 건으로 구속시킬 수는 있지만 나꼼수 자체에 대해서는 어떻게 태클을 걸어야 할지 알 수 없는거예요.

 

특정한 '정치세력'으로 시스템을 갖추고 성장하는 것 역시 만만한 일은 아닙니다.

만약 그들이 저질막장개그쇼가 아니라 어떤 정치세력으로서 역할하고자 했다면 기존 정치 역학구도 내에서의 경합을 피할 수 없음은 물론

정치 냉소주의가 팽배한 사회 분위기속에서 이만한 폭발성을 얻지 못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언론이나 정치세력 앞에 한 단어씩 더 붙여서, '대안언론'이나 '대안적 정치세력'으로 기능하기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어보입니다.

 

첫째로 'MB'는 느슨한 연대의 구심점이 될 수는 있으나 그것을 넘어선 비전 없이는 대안언론이나 대안적 정치세력으로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명확하고 지지자들을 확실히 끌어모을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방송을 통해 어떤 비전들을 제시해왔는지는 잘 모르지만, 없지는 않을 겁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다시 얘기할 것입니다만우선 이번 사태로 미루어 추측한 것은 그 비전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사회적 약자를 평등하게 배려한다'는 가치가 그들의 비전에 명확하게 포함되어 있었다면 이 사태가 이렇게까지 커지지는 않았을 테고

애초에 발언을 조심할 여지가 있었겠지요. 제가 느낀 것은 이번 일에 항의한 일부 청취자들과 나꼼수 멤버들 및 반대편 청취자들 사이에

그러한 거시적인 가치에 대해서조차 합의가 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여성을 사회적 약자에 포함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러한 비전을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일정정도 해소되었어야 했습니다.

청취자들은 그러한 가치에 대한 공감이나 지지를 통해 뭉칠수도 있고 또한 지지를 철회할 수도 있었습니다. 이런 방식이 아니라요.

 

둘째로 아젠다 세팅 능력이나 콘텐츠 생산 능력은 뛰어나지만

그들을 중심으로 한 청취자들이 정치세력화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컨트롤할 능력자나 시스템이 없다는 것입니다.

 

차라리 정 의원이 구속되지 않았다면 '정치적 쇼잉' 부분에서 훨씬 매끄러운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었을거라 생각하는데,

그것은 그가 국회의원으로서 내부자들 끼리의 정치적 갈등 상황에 대한 경험이 보다 많을 것이라는 점 때문입니다.

 

시스템의 문제는 일단 정치세력화 하고 나서 논의하자 할 수도 있지만,

시스템 자체가 정치세력화 과정에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잡혀가는 것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그리고 어쨌든 대표 격인 김어준씨가 '닥치고 정치'라는 책을(제목만으로는 정치세력화를 격려하는 것으로 보입니다낸 상황에서

이에 대한 감각과 센스가 전무하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러니까 지금으로서는이들에게는 '3류저질막장정치개그쇼'가 딱 적합한 포멧입니다.

아니, 그 형식을 탈피하면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옳고 그름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저는 이것이 나꼼수의 한계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대중들이 이들을 지지하고, 힘을 받아서 정치세력''하게 된다면 다른 형식이 필요하겠죠.

그게 발전적 해체가 되든, 나꼼수 시즌2가 되든, 뭐가 됐든 간에요.

 

'걔들은 원래 그런 애들이야' 라는 것이 진짜 이유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밝혔듯이 제가 나꼼수나 그 멤버들에 대한 캐릭터 이해가 일천한 관계로저는 알 수가 없는 문제라서.

제가 생각할 수 있는 사회적인 구조 안에서 풀어본 의견입니다.

 

2.

 

1에서 주류 언론의 빈틈을 얘기했는데, 이것은 또한 진보정치세력에게도 마찬가지로 책임이 있는 문제입니다.

언론 뿐 아니라, 진보 정치세력들이 제 역할을 했다면 나꼼수에 이렇게 큰 관심과 기대가 모아지지도 않았을 겁니다.

 

소위 삼국까페라는 곳도 한 군데도 가입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분위기는 모릅니다만 관련 글들을 보니

'기본적으로 나꼼수에 맹목적이라 할 만한 지지를 보내는 분위기 가운데 조금씩 거슬리던 여성차별적(?) 발언들이 쌓여 폭발한 것'

이라는 의견이 있던데요, 이 말을 받아들인다면 최소한 '삼국까페'로 대표되는 정치화된 여성들의 나꼼수에 대한 지지는

 '그 중 가장 기대치를 덜 줄이고도 지지할 수 있는' 존재로서 이루어져 왔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 입니다.

 

'3류 저질막..' 나꼼수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정치세력화 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사람들이 한겨레나 경향, 오마이나 프레시안을 중심으로 정치세력화 한 것은 아니었으니까요.

 

나꼼수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인 세력으로서 사람들을 붙잡을 수 있는 요소는

그들이 자신들의 비전을 얼마나 명확하게 제시하느냐와 별개로, 사람들이 그들에게서 발견한 비전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록 구체적인 형태로 명시/발표되거나, 토론을 통해 합의되지 않았더라도

 '상식'이 되었든 '불합리와 부정에 대한 반발'이 되었든 잠재적인 형태로 공유하는 비전이 있었겠지요.

 

그러한 비전을 바탕으로, 콘서트라든가 실제적인 행동을 통해 나타나는 집단의 힘은

이들을 중심으로 모이면 뭔가 할 수 있겠구나, 라는 기대가 되었을 거고요.

실제 성명 하나 발표할래도 여러 사람 손 거치고 논의하고 자칫하면 내부 분열 일어나고 난리인 기존 정치세력들-이것은 시스템의 문제입니다-

과 달리 이들은 명쾌하고선명하고, 무엇보다 빠릅니다. '발화자가 명확한' '개개인의' '느슨한' 연대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나꼼수는 '듣기싫으면 듣지마' 라고 할 수 있지만 진보정당들은 '지지하기 싫으면 탈퇴해'라고 무책임하게 얘기할 수 없는 문제니까요.

 

똑같은 'MB'를 가지고 기존 정치세력들이 당을 통합 할것이냐 말것이냐 그 와중에 쪼개지고 반발하고 회의하고

진보세력 내에서 'MB로 모여서 결과가 무엇이었냐'는 회의와 위기감 같은 것이 공존하는 와중에

'쫄지마!' 한 마디로 치고 나가는 것은 정치불신을 뒤엎는 신선함이죠.

 

현재의 진보세력이 이렇게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섣불리 행동할 만큼 성숙된 단계도 아니라고 생각하고 개인적으로 그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도 않고요

이에 대해서는 예전 듀게에 글을 썼었는데 시간이 되는 분만 보시면..

(http://djuna.cine21.com/bbs/view.php?id=main&page=1&sn1=&divpage=34&sn=on&ss=on&sc=on&keyword=이울진달&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95993)

 

제가 처음에 이 사태에 관심이 없었다고 밝힌 것은 굳이 나꼼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층이 'MB'라는 가치 하나로 모인 느슨한 연대의 유지에 대한 회의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어느 지점에 부닥치게 되면, 내부적으로 무마되어온 차이가 불거지게 되어 있는거죠.

 

다만 나꼼수를 비롯해 사람들의 정권 교체 열망, 합리적인 사회에 대한 갈망이 큰 시점에서,

이와 같은 현상을 어떻게 판단하고, 그들에게 어떤 대안을 제시할 것인가,

과연 '삼국까페의 구성원들에게 나꼼수를 대신하여 보다 나은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그래서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인가가 

진보정치세력의 미래 책임이 아닌가 싶습니다.

 

3.

 

사건의 성격 때문에 여성문제에 관해서 흥미로운 이슈들이 많이 제기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극렬페미니스트에 대한 공격적인 반응이 많이 보이던데.

이번 일에서는 '해당 여성의 자발성' 때문에 여성단체들에서도 꽤 오래 침묵했고

그걸로 인해서 '진영논리에 매몰돼 여성인권을 무시하는 여성단체들'이라는 논조로 주요 매체에서 매도되기도 하던데 이상하네요.

 

어쨌든,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서 듀게에서도 많은 관점들이 나온 것으로 알고있는데

최대한 일반론적인 얘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우선 '여성들 내부에 (서로 여성주의라고 주장하는다른 목소리가 존재한다'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대해 말하자면

당연히 기득권 남성과 노동자 남성이 다른 이해관계를 갖고 반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성들도 그러합니다.

 

미국에서 여성 참정권은 흑인 남성 참정권보다 더 늦게 주어졌습니다.

백인여성들이 아직 투표권이 없을때, 백인남성들은 흑인남성 노예 머릿수의 3분의 2 만큼의 투표권을 추가로 가졌습니다.

백인여성들과 흑인여성들은 여성주의라는 이름으로 모일만한 사회적인 근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백인여성들의 요구와 흑인여성들의 요구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백인여성들이 백인남성들과 동등하게 직업을 갖고 경쟁하기 위해서는 흑인 또는 유색인종 여성들이 집안일을 해 주어야 했고

흑인 또는 유색인종 여성들은 사실 그 이전에도-백인여성들이 집에 있는 동안-사회의 하층에서 직업을 갖고 일하고 있었습니다.

 

같은 계급 내에서도 자유주의자의 여성주의와, 사회주의자의 여성주의가 다르고

그 안에서도 개개인의 체험에 따라서 상대적인 민감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당연히 해당 사진을 올린 여성과 MBC 여기자와 나꼼수 청취자 개개인의 민감도가 다르겠지요.

어떤 것이 반드시, 보다 우월한 또는 진보된 여성주의다, 라는 규정은 없다는 뜻입니다.

 

둘째로, 벗는 것이 진보냐, 성적 엄숙주의냐 여러 논의가 있은 것으로 압니다

페미니즘에 대해 전문적으로 얘기할 계제도 되지 않으니 제가 말하고 싶은 바에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사례를 하나 가져와 볼까 합니다.

 

혹시, 이슬람여성들이 '히잡을 쓸 자유'를 외쳐 서구 페미니스트들을 벙찌게 했던 것을 기억하시는 분 계시려나요.

 

이슬람 여성들에 대한 억압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히잡'

터키 초대대통령 케말에 의해 공공장소와 대학캠퍼스에서 법적으로 금지되었습니다.

무스타파 케말은 최초로 여성참정권을 부여하고 법적 평등을 헌법에 명시했으며

여성을 하렘과 같은 여성만의 장소에 가두어두지 않게 한 여성주의자이자 세속국가의 대통령으로서 공공장소에서의 히잡을 금지했습니다.

 

그러자 터키 여대생들은 종교의 자유를 근거로 '히잡을 쓸 자유를 달라'며 정부를 향해 데모했고

공공장소나 캠퍼스에서 나오면 바로 히잡을 둘러썼으며

있는집 여식들은 '참한 이슬람 여성'으로서 존엄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등 유럽권 학교로 유학을 가서 히잡을 쓰고 다니는 일이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패션도 정치다, 라는 말이 있기도 합니다만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노출의 정도가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측정할 수 있는 바로미터는 아니라는 예 입니다.

벗을 자유 또는 입을 자유가 아닌수직적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벗거나 입을 자유가 필요한 것이죠

 

이어서 셋째로, 저는 저 여성들의 행동이 계급적 현실 속에서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자신의 젖을 다섯번 물린 남자 앞에서는 히잡을 쓰지 않아도 된다(가족과 같으므로)' 는 관념이 공공연한 이슬람사회에서

여성들에게 형식적 자유가 주어졌는데도 되려 히잡을 쓰게 해 달라고 데모하는 것은 어찌보면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녀들의 삶에 불명예를 끼치고 여러가지 선택의 가능성에 제약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히잡을 쓸 자유를 찾아 외국으로 가는 여성들은 물론 그럴만한 여력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데모를 하는 대신 유유히 유학을 떠납니다.

사실 이들은 고국의 여성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좋은 가정의 잘 교육받은, 현대 터키에서는 드문(!) 참한 이슬람여성으로서 독점적 지위를 획득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계층에 남자가 있고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여성들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그들은 각각 자신의 이익에 기반한 선택을 합니다

노동자 계급 여성들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박근혜를 지지하지 않고 다른 진보 정치인을 지지하듯이요.

(그 박근혜조차, 한명숙 추미애조차 헤어스타일과 전략적 의상선택이 필요이상 상세하게 주목받는 성적대상이기도 하지만)

 

여성들은, 특히 노동자 여성들은 사회적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심하게는

'에로틱 자본'을 이용하라는 격려도 받고 있을 정도로 일상적으로 성적 격하 대상이 되어 있습니다.

 

제가 '성희롱' 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성적 격하'라는 단어를 쓰는 것은

성희롱 개념의 모호함이 이 상황에서 오히려 현상을 분석하는 데 방해가 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발언은 모르겠고, '나꼼수를 통해 여성들이 정치화되었다'라는 말은 분명히 수직적인 시선을 내포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물론 그 자본을 적극적으로 잘 이용하는 여성들이 있겠습니다마는,

회사에서는 회사원으로, 능력으로 경쟁하고 싶다는 것이 다수 여성들의 요구이며 그 만큼 그러한 수직적 시선과

에로틱 자본에의 찬양 및 활용에 민감한 것이 다수 여성들의 현실입니다.

 

아마도 나꼼수를 청취한 다수 여성들은 자신들의 젠더를 생물학적 남성이지만 상식적 사회를 말하는 나꼼수 멤버들과

공유할 수 있거나 공유하고 있다고 기대했을 겁니다. 그 기대는 단순히 '우린 원래 안그런데 너희가 잘못봤어'의 문제가 아닙니다.

앞서 말한 합의되지 않은 비전과 가치, 상식이나 합리성으로 표현되는 지향점이 모호한 가치 설명은 충분히 잘못된 기대를 품게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이 반발도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넷째로, 안 그런 사람도 있는데, 본인이 당당하다는데 너희는 왜그러냐는 반격은

다른 모든 반격들을 통틀어 가장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여성운동의 결과로 자신들이 원하는 바를 획득한 백인 여성들이나

노예제의 폐지로 자신들이 원하는 바를 다소나마 획득한 흑인 남성들이

이도 저도 못된 그러나 가장 급진적이었던 흑인 여성들에게 가했던 공격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기득권을 일정부분 획득한 쪽이 탈구조주의적인 관점을 받아들이게 되었을 때 종종 보여지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주장은, 한 때 나마 같은 편이었고 같은 목표아래 모였던 사람들이 나서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이쯤에서 덮고 본인들에게 유리한 지점에서 마무리지을 수 있는 시점에 주로 득세합니다.

백인여성들의 '하층' 노동으로부터 해방을 위해 기능하는 흑인여성에 대한 요구

흑인남성들의 '유일하게 우위에서 내려다볼 수 있는 존재' 인 흑인여성에 대한 요구와 같이.

그것은 문제의 진정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흑인남성들의 흑인여성에 대한 요구에 대하여 한 가지 특별하게 덧붙이고 싶은것이 있습니다.

아프리칸아메리칸들의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하던 시기에 흑인여성들의 여성주의적 요구는 거의 완전히 무시되었다는 점 입니다.

대의를 위해서, 전략적으로요.

 

저는 해당여성이 사진을 올린 의도에 대해서 순수하게 시위에 대한 지지 차원인 것으로 전제하고자 합니다.

-오히려 그 진정성을 믿는다면 '슴부격차' 주장은 없어야겠죠. 그 여성이 슴부심에서...; 사진을 올린게 아니지 않습니까.

다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한 두 개인적인 반례가 있느냐 없느냐, 내가 괜찮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며

따라서 그 특이한 반례를 가지고 더이상 그것은 문제가 아니라고, 너희들이 너무 예민하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4.

 

자동 로그아웃되어서 보니 워드로 무려 9페이지군요.

이렇게 긴 바낭은 처음 써 보는 것 같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524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380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2304
116 제가 사는 원룸에는 미친 놈이 삽니다. [13] ACl 2012.03.29 5306
115 <I AM: SMTOWN Live World Tour in Madison Square Garden> 2차 포스터 공개!! [4] kiwiphobic 2012.03.29 1472
114 <위험한 관계> 소설-영화 좋아하시나요? [21] kiwiphobic 2012.03.26 2301
113 '희망버스', 국회로 향하다 [7] 사이비갈매기 2012.03.09 827
112 G마켓에서 구매한 제품, 7일이내에 환불 가능한가요? [1] chobo 2012.02.29 717
111 [바낭] 케이팝스타 사전 온라인 투표 현재 순위 [8] 로이배티 2012.02.29 2585
110 오페라스타가 타 서바이벌과 다른 점 중의 하나는... [3] S.S.S. 2012.02.26 1937
109 마거릿 대처 수상, 생각보다 미인이 아닐까 하는 생각 [9] 쥬디 2012.02.17 4145
108 다 게임이었어 [2] 가끔영화 2012.02.10 921
» 나꼼수를 둘러싼 뒤늦은 관심에 대해, 긴 바낭 [26] 물긷는달 2012.02.07 3044
106 [바낭] 세븐 컴백 & 어제 케이팝 스타 = 박진영 잡담(?) [22] 로이배티 2012.01.30 3699
105 현재 네이버 검색어 1위.gif [12] management 2012.01.27 4425
104 [바낭] 재건축 이야기 [4] beer inside 2012.01.03 1677
103 [바낭] 왜 혼자면 외로워해야 하는가 [9] 에아렌딜 2011.12.24 2671
102 어쩔 수 없는 것, 그리고 잊지 말아야할 것 [8] 피로 2011.12.22 2759
101 [덕망] 애매한 것 정해드립니다잉 [9] 닥터슬럼프 2011.12.21 2066
100 (바낭) 본격 신체 바낭 [8] 침흘리는글루건 2011.12.17 2027
99 영화잡담 (You've got mail, 우디 앨런 영화들 - 각각 약스포) , 기타잡담 @이선 2011.12.13 1026
98 예상대로 4S 가격에 낚인 이야기... [3] 에이왁스 2011.12.13 2018
97 600광년 떨어진 별에 사람이 살고 있다 해도 [4] 가끔영화 2011.12.06 14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