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라 함은 전 영어 거품 꺼진줄 알았어요. 조기 영어교육도 말이에요.

영 세상 물정을 몰랐나봐요. 하긴 아직도 TV  프로에 애들 영어가르치는 프로가

있으니까, 보자마자 채널 확 돌리죠.


오랜만에 본 동생이 자기 직장에 있는 아이가 있는 직원이 영어유치원을

250만원을 매달 주고 보낸다는거에요. 문제는 그 직원이 남편 월급까지 합쳐도

수입의 70~80%를 아이 영어 유치원에다가 쓴다는거죠.


더구나 애가 영어유치원에서 다른 아이들에게 왕따를 당하고 있는데도 말이에요.


그 말 듣고 "그 돈있으면 차라리 두 달치 돈 합쳐서 에르메스 백이라도 사라고 해"


같은 직장 여직원들이 받은 돈 다 바쳐서 명품백 산다고 해서 너무 허영으로

산다고 했다가 그 영어 유치원 얘기듣고 애 영어유치원 무리하게 보내느니 명품백 사는게 낫다는 얘기죠.


영어라는게 어릴 때 배워야 효과가 높고~~~~~ 영어 유치원은 그만한 효력이

애마다 천차만별입니다. 그리고 동생말처럼 그런 돈이면 조기유학을 보내는게 낫겠죠.


하지만 더 커서 더 적은 돈으로 영어배워도 가성비가 훨씬 낫다는거죠.

해외에서 아예 몇 년 거주하면서 유창하게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정도가 되도

직장에서 취직되는데 엄청 지금 영향을 주나요? 직장마다 다르겠지만요.


조기 영어교육은 투자 대비 가성비가 너무 떨어진다는 확신이 있다구요.


제가 영어유치원이랑 초등 원어민과 함께하는 영어회화학원에서 일하면서

동료강사들과 내린 결론이에요.


"될 애는 되고 안될 애는 안되다. 초등학교 때 영어배우는건 필요하겠지만

영어유치원은 꼭 다닐 이유가 전혀 없다"


부작용으로는 애가 영어가 싫어서 영어 노이로제에 걸리거나

오히려 성격만 비뚤어지는 경우도 있어요.

물론 조기 영어교육도 적절한 비용으로 애가 질리지 않게 하는건 좋은거죠.





전 영어 중학교 1학년 때 알파벳 배웠지만 지금 영어에 대해서는 자신 있어요.

사실은 뭐, 영어로 계속 먹고 살았는데 영어에 자신있는게 당연한거죠.


아침부터 재수없게 영어로 잘난 척하려는거였냐!!!!!!!


그렇습니다^^  근데 저 영어 성적 그닥 처음에는 좋게 나온것도 아니고 그냥 영어가

좋았어요. 전 팝송을 엄청 좋아했는데 가사 뜻을 너무 알고 싶은거에요.

그게 시작이었어요. 나중에 성적표보니 고1때 영어성적이 70점대라서 놀랐어요. 전 그 때 내가 못한다고

생각 안했고 노력하면 잘할 수 있을거라고 믿었거든요. 고3때는 90점이 넘었죠.


물론 토익이나 기타 영어 시험도 정말 수십번 씩 보면서 시험 영어 공부도 많이 했지만

내가 보고 싶은 책을 영어로 읽을 수 있을 때가 좋고 정보 접근성이 높아서

내가 좋아하는 분야 책을 자유롭고 폭넓게 접할 수 있는게 좋아요.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영화배우 인터뷰도 원도 없이 많이 찾아봤구요.


전 공부하겠다고 일부러 자막끄고 영화를 반복 시청하고 그런건 안했어요.

그런 식으로 영화보면 질리기만 할거 같아서요. 그냥 보고 싶은 영화나 미드 질리게

보다보면 자막이 있어도 귀에 자동으로 익혀지는 영어가 있거든요.

내가 좋아하는 영화봐야죠.



- 사실 여기 저보다 영어 잘하는 분들 많은데 그런거 다 신경 안쓰고 막 잘난 척하고 싶었어요.

  그리고 새해 결심으로 올해는 영어 공부를 해보자, 이런 분들은 아침부터 이게 이게 약올리나 싶으시겠지만

  전 이것 밖에는 아무 재능도 없다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8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3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69
126262 프레임드 #803 [4] Lunagazer 2024.05.22 61
126261 퓨리오사 보고 왔어요!! [23] 쏘맥 2024.05.22 733
126260 치킨에 대해 catgotmy 2024.05.22 156
126259 Jan A.P. Kaczmarek 1953-2024 R.I.P. 조성용 2024.05.22 93
126258 [왓챠바낭] 배우들 때문에 그냥 봤습니다. '아프리카' 잡담 [1] 로이배티 2024.05.22 275
126257 메가박스에서 6월 8일(토)에 [Live] 2024 빈 필하모닉 여름음악회를 해요. [1] jeremy 2024.05.21 124
126256 에피소드 #90 [6] Lunagazer 2024.05.21 59
126255 프레임드 #802 [4] Lunagazer 2024.05.21 67
126254 칸의 데미 무어 daviddain 2024.05.21 263
126253 매일은 아니고 자주 보는 영상 [3] daviddain 2024.05.21 165
126252 [왓챠바낭] 오랜만에 드 팔마, '필사의 추적'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4.05.21 294
126251 영화 서울의 봄 보다가 말고 [3] catgotmy 2024.05.20 413
126250 프레임드 #801 [6] Lunagazer 2024.05.20 73
126249 가끔 생각나 찾아 보는 미드 인트로와 노래 [4] daviddain 2024.05.20 176
126248 포르투갈 운석(메테오) 상수 2024.05.20 167
126247 장진영 배우의 아버님이 돌아가셨군요 [1] 상수 2024.05.20 378
126246 듀게 오픈채팅방 멤버 모집 [1] 물휴지 2024.05.20 61
126245 프라임-안나 [2] theforce 2024.05.20 148
126244 [영화바낭] 미루고 미루다 봤습니다. '매트릭스: 리저렉션' 잡담 [14] 로이배티 2024.05.20 426
126243 프레임드 #800 [4] Lunagazer 2024.05.19 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