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넷 - 007

2020.09.07 00:05

Sonny 조회 수:986

Uc-WBp62k-Lven-ZCqw-XPy-Er-F-1200-80.jpg


<테넷>을 보면서 느꼈던 것은 크리스토퍼 놀란이 정말로 007 팬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SF적 개념과는 무관하게 <테넷>은 줄곧 007 프랜차이즈의 스타일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시간역행이라는 영화의 설정만 빼면 이 영화는 완벽하게 007입니다. 이를테면 이 영화에서 최대 난제는 시간역행이 아니라 주인공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에 있습니다. 대체 주인공은 왜 그렇게 임무를 어그러트리면서까지 캣을 지키려고 애쓰는가. 답은 이 영화 바깥에 있습니다. 그게 007의 기사도 정신이기 때문입니다. 007은 다른 악당과 남자들은 가차없이 쏴죽여도 여자는 무조건 지키려고 합니다. <테넷>은 007의 섹스중독 기질을 보다 고상하게 감췄을 뿐입니다. 캣은 이 영화의 가련한 본드걸입니다. 사토르도 말이 안되긴 마찬가지입니다. 대체 요즘 액션 영화에서 "대놓고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악당 1명"의 설정이 말이나 되나요. 이것도 007의 익숙한 테마입니다. <테넷> 의 사토르는 007시리즈의 블로펠드입니다.

<테넷>이 007의 변주라는 점은 이런 기본설정말고도 이 영화의 미쟝센에서 드러납니다. 007 시리즈의 가장 큰 변별력은 주인공이 항상 폼을 내고 다닌다는 것입니다. 뭔가 근사하고 세련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 007 시리즈의 가장 큰 포인트입니다. 액션이나 철학은 두번째 문제입니다. 똑똑하고 몸도 잘 쓰는 전문가 남성이 비밀리에 뭔가를 후딱 해치운다는 그 망상을 우아하게 표현하는 것이 007의 본질입니다. <테넷>의 주인공은 항상 양복을 입고 다닙니다. 아예 작중에서 대놓고 "재벌들은 그렇게 싸구려 양복을 입고 다니지 않네." "그 양복 잘 안어울리네요." 같은 스타일에 대한 지적이 직접적으로 나옵니다. 007을 오마쥬한다는 걸 의식한 놀란의 자조적 농담일지도 모릅니다. 나의 영화가 내 이상형인 007만큼 우아할 수는 없겠지만... 이라며 자신을 낮춰 자신의 아이돌을 높이는 거죠. 놀란은 못생기거나 거친 배우를 기용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테넷>의 닐을 맡은 로버트 패틴슨은 트와일라잇 시리즈로 "미남"의 이미지를 박아놓은 헐리우드 청춘스타라는 걸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존 데이비드 워싱턴의 경우 놀란이 추구하는 그 우아한 이미지에 어울리는지 조금 의아하지만, 오히려 그 주인공을 제외한 다른 모든 주역 배우들이 정장을 차려입고 상류층의 자태를 뽐냅니다. 오히려 너무 뻔해질까봐 더 활동적이고 미국적인 배우를 주인공으로 기용하면서 놀란은 자신의 기성품 양복 같은 세계에서 활력을 주는 요소로 활용했을수도 있습니다.

<테넷>에는 작가의 취향 말고는 크게 연관이 없는 사치스러운 설정들이 나옵니다. 프란시스 고야의 작품을 찾기 위해 재벌들의 비밀 금고인 프리포트에 간다거나, 사토르가 모는 요트 경주 장면 같은 것들이 그렇습니다. 007의 기본 설정이 "명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상기할 수 있겠네요. 명화는 그 자체로도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있지만 재벌들의 또 다른 화폐 같은 개념이기도 하니까요. 사토르의 개인 소유 요트나 경주용 요트 같은 것들은 어지간한 부자들은 소유하기도 힘든 자산입니다. <테넷>은 인버젼의 개념을 다루지 않는 시간대에는 이런 호화로운 사물들로 스크린을 채우면서 이 작품의 세계가 굉장히 비싸고 특별한 계급이 향유하는 것이라고 인식시킵니다. <테넷>은 세계평화를 위하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사실은 세계를 지배하는 이들의 최고급 작전입니다. 단지 판돈으로 세계가 걸려있을 뿐입니다.

<테넷>에는 007에 없는 한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우정입니다. 007은 거의 모든 것을 소유한 남자가 딱 하나 소유하지 못한 것, 여자를 소유하는 이야기입니다. 악당은 007이 그 여자의 소유를 안전하게 누리지 못하도록 하는 위험요소일 뿐입니다. 007은 철저한 자본주의의 이야기입니다. 남성적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그렇죠. 007이 고독한 남자의 일과 연애라면 <테넷>은 고독한 남자의 일과 연애와 우정입니다. <테넷>에는 007에는 없는 외로움이 있습니다. 007의 남자 주인공이 재력가 이미지와 교양으로 이성을 유혹할 때, <테넷>은 돈으로도 살 수 없는 친구를 이야기합니다. 왜냐하면 친구는 그런 식으로 지배할 수 없으며 007의 연애는 사실 관계라기보다는 하룻밤의 구매에 가까우니까요. 감동받을 수 밖에 없는 동료애. 어쩌면 이것은 영국적인 로망을 이야기하는 007 시리즈와 미국적인 것을 이야기하는 놀란의 차이일지도 모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17
113538 [EBS1 영화] 트래쉬 [22] underground 2020.09.26 544
113537 [축구팬들만] 수아레즈와 메시 [9] daviddain 2020.09.26 372
113536 [KBS1 독립영화관] 마이 케미컬 러브 / 그리고 가을이 왔다 [11] underground 2020.09.25 472
113535 억냥이 [2] 은밀한 생 2020.09.25 520
113534 왜 살까? [30] 칼리토 2020.09.25 1478
113533 바낭 - 팔로워 좋아요 구입 서비스 예상수 2020.09.25 300
113532 세상에, 북한이 공식적으로 미안하다는 말을 하다니. [10] 졸려 2020.09.25 1666
113531 음악 잡담 - When u gonna be cool, 연애의 목적 [1] 예상수 2020.09.25 288
113530 엄한 내용 때문에 봉변당한 영화와 감독들 귀장 2020.09.25 572
113529 [넷플릭스]에놀라 홈즈 봤습니다만 [3] 노리 2020.09.25 929
113528 작은 집단과 분석의 욕망 [1] Sonny 2020.09.25 432
113527 난데없는 인싸취급, 관계에 대한 애착 [2] 귀장 2020.09.25 427
113526 작은 집단 속의 알력다툼 [10] 귀장 2020.09.25 696
113525 [넷플릭스바낭] 알고 보면 무서운(?) 이야기, '이제 그만 끝낼까해'를 봤습니다 [4] 로이배티 2020.09.25 806
113524 어머님의 친구가 암투병중이신데 [3] 가을+방학 2020.09.25 651
113523 에휴.. 아무리 머저리들이라지만 추미애 아들건 까지 물 줄이야 [2] 도야지 2020.09.25 757
113522 잡담...(불면증, 게임, 대충 룸살롱은 왜가는지 모르겠다는 짤방) [1] 안유미 2020.09.25 615
113521 좋아하는 영화 삽입곡들(의식의 흐름에 따른)...과 글리 (스크롤 경보) [4] Lunagazer 2020.09.24 502
113520 카톡이 왔군요 [4] Sonny 2020.09.24 966
113519 거저먹는 게임라이프 [8] Lunagazer 2020.09.24 46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