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저녁에 <유령 작가>, 오늘 아침에는 <방자전>을 봤습니다.

금요일 저녁 CGV였는데 <유령 작가> 상영관이 한산하더군요. 게다가 개봉한 지 2주도 아직 안 된 것 같은데 벌써 상영 시간이 드문드문하게 잡혔더군요. 이해가 안 됩니다. 영화관에 오는 관객 대부분은 폴란스키 감독의 추문에 신경 쓰지 않을 테니, 이 정도로 재미있는 작품이라면 입소문이 나서라도 흥행을 좀 할 만 한데 말입니다.

구글링만으로 참 많은 걸 알 수 있다던가, 주인공은 증거물을 던전에서 득템하는 식으로 쉽게도 얻는다던가 하는 식의, 스릴러물에서 흔히 느끼는 단점들이 없는 건 아닌데 빡빡하게 조여들어 오는 분위기가 참 밀도 있게 느껴지더군요. <조스>에서 상어가 공격하는 것도 아닌데 음악과 우왕좌왕만으로 관객을 공포에 휩싸이게 하는 그 유명한 해변씬을 본 기분이랄까요.

마지막에 최종 수수께끼를 푸는 장면의 플롯은 사실 좀 갸웃... 하기는 했습니다.

맥카라는 회고록을 쓰는 내내 루스가 CIA 에이전트임을 알고 있었던 걸까요? 그렇지 않고서야 단서를 모든 챕터의 서두에 끼워 넣는다는 건 말이 안 된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만약 맥카라가 회고록을 쓰는 도중에, 아니면 초고를 다 쓴 다음에 루스가 배신자임을 알았다면 그 엄청난 두께의 물건을 상당 부분 뜯어 고쳤어야 한다는 이야기인데...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악몽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이야기군요. 아니면 책의 내용이 갈팡질팡하는 것 따위는 신경 쓰지 않고 서두 부분만 얼렁뚱땅 뜯어 고쳤을 텐데, 사실 이 편이 고스트 라이터가 초고를 읽어본 다음 으악! 하는 표정을 짓는 것에는 더 부합하는 이야기이기는 합니다만.

또 아멜리아 블라이는 그 beginning's'에 비밀이 숨어 있다는 말을 왜 고스트 라이터에게 해 주었는지를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니, 애초에 아멜리아 블라이가 그 초고에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걸 알게 되는 것 자체가 이상한 일입니다. 아담 랭이 죽은 다음 아멜리아는 끈 떨어진 신세가 되긴 했지만 미국 사람들이 beginning's'에 국가 안보 기밀이 숨겨져 있다고 이야기했다면 관심을 가질 만 하고, 비밀을 알면 누군가에게 유출시킬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명색이 전 영국 수상의 비서이니 영국 정치권에 아는 사람이 없다면 이상한 일이지요. 물론 아담 랭의 오랜 비서였다는 것 때문에 함부로 나설 계제는 아니긴 하지만 굳이 위험을 무릅쓸 필요는 없지 않습니까? 제가 CIA 에이전트라면 루스 랭이 남편의 유품이라 할 수 있는 그 원고를 가지고 싶어한다는 이유로 반환을 요구해 수거하지 그런 이야기를 굳이 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과연 아멜리아 블라이는 CIA의 또다른 에이전트였을까요?

 

(번역이 그 '홍주희' 씨던데 혹시 번역이 잘못 되어 제가 놓친 부분이 있는 겁니까?)

 

원작이 로버트 해리스라고 나오길래 저는 '아, 역시 명불허전!' 하면서 극장을 나왔습니다. 로버트 해리스가 <폼페이>를 썼다고 하길래 그 사람이 언제 로마 시대까지 영역을 넓혔데? 역시 대단해!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로버트 해리스가 영국인이었나? 하는 생각까지 했죠. 슬슬 뭔가 이상해집니다.

예, 저는 로버트 해리스를 토마스 해리스로 착각했던 것입니다. (......)

정작 저는 로버트 해리스의 책을 단 한 권도 안 읽었던 거지요. 그런데 왜 이렇게 이름이 낯익은가 했더니 이게 다 닉 혼비 때문이었습니다.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로버트 해리스는 닉 혼비의 매제입니다. 그리고 전 최근에 닉 혼비의 책을 읽어서 혼비가 자기 매제와 여동생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봤고요. 로버트 해리스가 신작 소설을 쓰는데 3년인가 5년인가 걸렸는데, 그 동안 자기 여동생이 로마 하수도에 대해 줄창 듣고 앉아 있었을 걸 생각하니 여동생에 대한 존경심이 엄청 생겼다나요. 

 

뭐, 그저 기억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로버트 해리스의 책을 사 읽을 마음이 좀 생겼는데 이 작가의 책이 원서로 읽을 만한 수준인지를 모르겠군요. 폼페이를 원서로 읽겠다는 생각은 아예 하지 않지만 <고스트>는 인물들 간에 주고받는 대사가 귀에 쏙쏙 꽂히는 편이었기에 일상 회화 공부라도 할 겸 해서 원서로 읽어볼까 합니다.

 

 

방자전은 그냥 그랬습니다. 제가 한국 영화를 별로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인물들의 대사가 종종 씹혀서 잘 들리지가 않습니다. 이번에도 그런 식으로 놓친 대사가 몇 개 있었습니다.

그 외에도 영화가 중간중간 늘어지면서 힘이 없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다른 분들이 많이 감탄하는 변학도에게서도 불쾌감만 느껴져서 몰입을 못 하겠더군요. 제가 정말 싫어하는 타입의 캐릭터여서 보는 것만으로도 소름이 쪽쪽 끼쳤습니다. 그렇게 야하지도 않았고 누군가 특정 부위를 수술한 게 안 예쁘게 되었다는 생각이 들어서 신경이 쓰이기도 했고요. (...)

방자는 (인물들 중 가장) 건실하고 헌신적이었지만 딱 거기까지였고. 오히려 영화 보는 내내 짜증이 치솟게 했던 몽룡이가 캐릭터 쪽에서는 가장 건질 만 했던 것 같습니다.


초반에 방자가 춘향을 업고 내려가던 꽃길은 참 예쁘더군요. 미리 손질을 해 놨겠지만 적당히 자연적으로 보이면서도 꽃들이 알록달록 조화를 잘 이루고 있었어요.

 

초반의 몇 분을 놓쳐서 방자와 소설가가 마주 앉아서 소설가 왈, 아 이 서방 이야기라면 당연히 재미있겠지. 이런 식의 이야기를 하는 장면에서부터 봤습니다. 그 전에 어떤 장면이 있었는지 말씀해 주실 분 계신가요? 그리고 좀 난감한 대사인데, 마 영감이 죽을 때 자위를 하며 가셨다는 선생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그 크기는! 하니 방자가 얼마나 했는데요? 하고 물은 다음 마 영감이 뭐라고 대답했는지 들으신 분 댓글 좀 부탁드립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24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79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750
125710 인터스텔라의 천문학적 근거는 개뻥이 아닐 수 있겠군요. [4] 질문맨 2014.11.13 9474
125709 미아 패로우와 우디 앨런의 유일한 생물학적 친자 Ronan Seamus Farrow [21] 잠시익명할게요 2012.06.17 9472
125708 날콩가루로 콩국수물 또는 콩물 만드는 방법 아시는 분!! [5] 가리수 2011.06.29 9472
125707 [답변] 커피와 신장기능 [8] 늦달 2010.07.30 9469
125706 제가 사랑하는 19금의 여신 [6] 시민1 2014.03.03 9466
125705 한국 남자 성기 길이와 둘레 [6] 겨자 2015.07.11 9462
125704 대물에 지친 여러분께 추천하는 [8] nobody 2010.10.29 9460
125703 고승덕 딸이 고승덕 교육감되면 안 된다고 글 올렸네요. [72] 비밀의 청춘 2014.05.31 9458
125702 [듀9] 왜 빵위에 밀가루를 뿌리는걸까요? [14] 서울깍쟁이 2014.09.29 9455
125701 오늘 라디오스타에서 비호감계의 신성을 봤습니다 [16] turtlebig 2013.02.21 9455
125700 톰크루즈 진짜 이해가 안 가네요 [34] 아키나쨔응 2012.07.01 9446
125699 "깨알같다"는 말의 어원이 뭔가요? [5] 칸막이 2011.02.15 9442
125698 급소 차기 [42] 셜록 2010.07.10 9442
125697 웰시 코기의 우월한 유전자 [23] Johndoe 2011.06.08 9441
125696 에반게리온 아파트 in 삿뽀로 [29] cadenza 2013.02.26 9439
125695 더반찬에서 반찬 구매하시는 분들~ [4] 메잇 2010.10.22 9432
125694 웹툰 여자를 유혹하는 방법 [12] 렌즈맨 2010.08.16 9432
125693 [공지] <짚의 방패> 시사회 당첨자 명단 [1] DJUNA 2013.08.13 9427
125692 (연애 상담) 소개팅은 세번째 만남에서 쇼부보는게 정석인가요. [6] 스핏파이어 2012.04.15 9423
125691 이제훈 까는 김조광수? [27] WILLIS 2011.10.28 94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