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들을 보고. 예술과 제도.

2011.02.14 19:48

cliche 조회 수:1613


-일단 상업/대중 예술과 순수예술을 구분해야 할 것 같습니다만, 열받는김에 일단 씁니다. 각각 예술은 수익모델이 다르니 - 순수예술은 콜렉터 잘만나는게 장땡, 아니던가요.
-생각할수록 열받고, 화나고, 안타까운 일이지만... 그래도 단지 낭만적인 동정으로는 해결이 안될 문제에요.



저는 비디오를 만듭니다. 미술쪽이에요. 작업이 팔린 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전시는 몇 번 했어요. 예술가라는 말은 근지러워서 못쓰지만 일단 틀린 말은 아니겠지요.

남들 일할 시간에 같이 일하는데 돈이 안들어오는 일이라, 그만큼 수입이 안들어온다는 진리를 저는 학교를 들어오고 몇년 후에나 깨달았어요. 미련하죠. 그런데 그럴 수 있었던 가장 큰 원인은 제 먹을 입, 살 방값을 제가 책임지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이제는 생계가 달린 예술가로서 일단 살아있습니다.

미친 자아? 그런 예술관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어느 정도의 자아도취가 있으니 하는 거겠죠. 단지, 이건 자아 도취라는 자의식을 가지고, 그것을 작업을 계속 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삼을 수도 있지만 - 그건 철저히 개인적인 거에요. 다른 사람들에게 미쳐라, 너도 미쳐봐라, 라고 권하는 것은 선생으로서 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던져볼 수 있는 화두이고, 졸업반 학생들에게는 "일단 자리잡고 작업을 계속해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보게"(밑에1)정도로 말을 바꿔야 맞는 일이겠죠. 그게 필요없다면 은둔하며 창작하는 헨리 다거? 다져?가 되면 될 것이고. 그런데 은둔하면서 소통도 필요없고 오로지 혼자 창작과 감상을 나누는, 그런 게 가능한 존재가 과연 몇이나 있을까요?

적어도 지금 제 머릿속에는 한 국가에서 Sustainable한 창작이 가능하려면 시스템이 바뀌어야하고, 제도가 달라져야 한다 -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해줄 것은 국가이고, 세금이다, 라고 하는 생각밖에는 나지 않습니다. 왜냐면, "나는 보르헤스가 가치 있는 글을 몇 편 썼다는 사실은 별 어려움 없이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글이 나를 구원할 수는 없다. 좋은 글은 다른 나를 포함하여 어느 누구의 것이 아니라 언어나 전통에 속하기 때문이리라." (보르헤스와 나, 보르헤스) 이라잖아요. (밑에2랑 3)

그래서 솔직하게, 아까도 말했죠, 작업이 팔린 적은 한번도 없다구요. 전시를 하면 공짜이거나 한번에 몇십만원 돈이 들어올 때도 있어요. 상받으면 상보다 상금이 그렇게 고마워요. 그렇지만, 작업하는데에 반년이 넘게 걸렸는데 그동안 통틀어 50만원을 번다면 수지가 안맞아요. 그래서 저는 과외선생을 하고, 기술을 배우고, 가능하면 오래오래 살아남으려고 해요.

제도를 바꾸려고 노력해야하는데, 어디서부터 그 노력을 시작하면 좋을까요.



위에서1)
근대의 예술가가 가진 조건이 일을 하지 않아도 될 여가, 혹은 일을 하더라도 그 비는 사이에 창작이 가능한 직업과 일의 내용, 그런것들이었다면, 현대에 와서는 다른 일을 하면서 예술을 할만한 일이 무척 제한되어 있지 않던가요. 영화나 다른 매체들은 아르바이트 식으로 접근하는게 아예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예 "투자"를 한다 치고 몇년에서 십년 넘는 기간을 그 바닥에 심어야 하고…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아예 없어요. 

위에서2)
그리고 그 기금을 타는 사람들이 국가와 세금제도와 그 이외 모든 것을 비판할 수 있는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누구"에게 "어떤" 기준으로 준다는 것이 체제 옹호적, 길드 옹호적인 것이 아니어야 합니다. 그래야 몇몇이 두려워하는 프로파간다 예술이 되지 않을 수 있겠죠. 이런 심사제도가 어떻게 운영될 것인가가 제도 그자체보다 더 중요할지도 모르겠네요. (이창동 "시"의 각본 빵점 기억나시는지요)

위에서3)
이번에도 소개가 많이 된 것으로 알고 있지만, 프랑스식 앵떼르미땅 Intermittent du spectacle과 같은 제도는 몇백시간 고용이 된 경우 너가 정말 이 분야의 프로로구나, 하는 상황이 마련된 상태에서 다음해부터 그 급여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 실업급여를 나라에서 줍니다. 그거 달성하기가 무지 까다로워서 "올바른 계약서"가 있어야지만 가능합니다. 이를테면 제가 조명 역으로 고용이 되었는데, 일주일 40시간 오버는 좀 무리일거고, 직종이 직종이니 시간당 얼마 이하는 말이 안될거고, 그렇게 고용이 되면 고용주는 저에게 주는 돈 플러스 1/3가량은 국가에 세금으로 납부해야 하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2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41
408 괜찮은 음악 사이트 알려주세요 ^^ [3] 연금술사 2011.01.21 1546
407 주택연금 수령액 최고 월 453만원 [4] 가끔영화 2011.01.26 2368
406 사생활 노출했으니 이런 댓글을 예상못할 리가 있냐 라니.. [8] maxi 2011.01.27 3887
405 청주에서 인디음악영화제를 하는데요.. [3] bebijang 2011.01.29 1414
404 KBS 드라마 스페셜 - '화이트 크리스마스' 1화 감상 (스포일런 없어요) [10] 로이배티 2011.01.31 4043
403 가장 많이 팔린 팝앨범은 누구걸가요 [12] 가끔영화 2011.02.01 1525
402 보고 싶은데 못보는 영화는 [10] 가끔영화 2011.02.03 2680
401 척 보면 아시겠어요 [6] 가끔영화 2011.02.03 2398
400 가지마라~설 연휴야 가지마라~!! [2] 수지니야 2011.02.04 1831
399 [수정]미술관을 갔다 왔습니다. [20] 말린해삼 2011.02.06 3784
398 트랜스포머 3 새로 나온 예고편입니다. [13] 부기우기 2011.02.07 1896
397 아래 급식비 미납금 글을 보고 생각난 옛일. [15] 말린해삼 2011.02.07 2572
396 막동이 시나리오 올해만 폐지 [8] 사과식초 2011.02.08 3271
395 해외에서 와우가 안되다니!! [18] 남자간호사 2011.02.10 2816
394 이 청년 [4] 가끔영화 2011.02.11 2342
393 이런저런 잡담 [2] i wanna unknown 2011.02.14 1269
» 논쟁들을 보고. 예술과 제도. [4] cliche 2011.02.14 1613
391 내일 영화를 한 편 본다면 127시간과 만추 중 뭘 먼저 볼까요?? [9] dhdh 2011.02.18 2731
390 <127시간> IMDB 트리비아 번역 [3] 빠삐용 2011.02.19 2394
389 127시간 보고 왔는데... (스포일러죠) [14] dhdh 2011.02.19 206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