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9년작이네요. 무려 두 시간 6분이라 하고요. 스포일러가 없을 필요가 있는 영화일까요? 라는 생각이 들지만 뭐 일단은 안 적겠습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 는데 설명이 너무 많습니다)



 - 주윤발이 '도신'입니다. 말 그대로 도박의 신이에요. 세상 모든 도박에 다 능하고 다 잘하고 다 짱 먹습니다. 도입부에선 일본 서열 2위라는 도박사를 만나서 가볍게 무찌르는데, 시합 후 상대방에게서 이상한 요청을 받아요. 자기가 집안의 원수를 갚아야할 도박꾼이 있는데 내 실력으론 어렵다. 니가 대신 좀 이겨주겠니? 내가 돈 대주고 더 얹어줄게. 우리 정의의 도신님은 당연히 오케이하구요. 근데 이 양반이 어쩌다 그만 악당들의 습격을 받고, 그 습격에선 말짱하게 잘 살아남았는데 그러고 집에 가는 길에 겁나 허접한 함정에 빠져 언덕을 구르다가 머리를 부딪히고 실신합니다.


 그 허접한 함정을 파놓은 것은 바로 유덕화였는데요. 이 놈은 그냥 도박 좋아하는 동네 양아치일 뿐인데, 자기를 기분 나쁘게 한 동네 주민을 골탕먹이려다 그만 사고를 쳐 버린 거죠. 그래서 쓰러진 주윤발을 챙겨서 자기 집으로 데려갔는데 아이고 이 놈이 기억상실. 그것도 정신 연령 10세로 후퇴. 바로 내다 버릴까 하다가 첨엔 주윤발이 들고 있던 돈 때문에 못 버리고, 잠시 후엔 이 바보의 도박 능력을 알아채는 바람에 안 버리구요. 주윤발이 초콜렛에 엄청나게 집착하는 걸 보고는 '넌 이제는 초콜렛이다!'라며 여기저기 끌고 다니며 도박 앵벌이 인생을 시작합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당시 극장에서 보던 사람들을 경악케 했던 주윤발의 바보행. 아마 저 미키마우스 풍선은 '첩혈쌍웅'의 셀프 패러디... 라고 생각했는데 같은 해에 나온 영화네요)



 - 전에 게시판에서도 어느 분이 언급했었는데. 이 시절 홍콩 오락영화들을 보면 특유의 참으로 느슨하고 나이브한 분위기가 있습니다. '참으로'라고 했는데 사실 이 정도 표현으론 한참 부족하죠. 그냥 상식을 뛰어넘게 느슨한 인과로 이어지는 스토리, 현실과 환타지를 아무 맥락 없이 오가는 전개, 그리고 인물들의 실제 행동과는 별개로 '주인공은 착하고 악당은 나쁘다'고 대충 넘어가 버리는 선악 구분... 뭐 이렇게 길게 설명할 것 없이 걍 요즘 기준으로 말하자면 '일관성도 개연성도 없이 장면장면의 재미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영화도 그렇구요.


 예를 들어 유덕화는 사실 되게 나쁜 놈입니다. 얘가 홍콩 영화 속 주인공이란 사실을 잊고 그냥 하는 일만 보면 런닝타임의 절반 동안 얘는 하찮은 소악당이에요 그냥. 근데 중반에 진짜 아무 것도 아닌 상황으로 성격 반전을 일으키고 이후론 쭉 용기있고 희생정신 넘치는 정의의 주인공이 되죠. 이유? 주인공이니까요.

 주윤발 '도신' 캐릭터의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부분은 요즘 기준으로 보면 당황스럽습니다. 이게 머리 한 번 '쿵' 하고 부딪히고 그러는 거면 차라리 괜찮은데, 한 번 부딪히고 피흘리며 쓰러진 후에 진짜 맥락 없는 슬랩스틱으로 서너번을 더 강력하게 부딪힙니다. 되게 진지한 상황인데 그냥 슬랩스틱이 나와요. 나중에 기억 되찾을 때도 똑같은 괴이한 슬랩스틱이 반복되구요. ㅋㅋ

 

 근데 이런 걸 따지면 안됩니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자면, 굳이 20세기 홍콩 오락물을 찾아 보면서 이런 걸 따지면 자기만 손해라는 거죠. 그냥 시대와 장르의 일부라고 생각하고 보는 게 상책이고 전 당연히 그렇게 봤습니다. 전 그 시절 사람이니까요. ㅋ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우리는 착하다! 왜냐면 착한 역을 맡았기 때문이다!!!)



 -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도박 장면들은... 한심합니다. ㅋㅋㅋㅋ 네 정말로 한심해요.

 그러니까 명색이 도박 영화인데, 주인공들이 펼치는 대결은 절대로 도박 대결이 아닙니다. 이 '도신'이란 인간은 갬블러라기 보단 절대 무공 무협 지존에 가깝고. 실제로 도박 중에도 머리를 쓰고 트릭을 쓰는 게 아니라 무공을 펼치는 걸로 대부분의 상황을 해결합니다. 막대기로 합을 겨루며 마작 패 쟁탈전을 벌이고, 주사위 게임에서 낮은 숫자를 얻어 승부에서 이기기 위해 주사위를 파괴(...)해버리는 등등. 그런 양반이 언덕에서 구르는 것 하나 못 버텨서 심지어 몇몇 소소한 장면들에선 주인공이 그걸 어떻게 해냈는지 설명을 그냥 생략해 버리기까지 하죠. '도신이니까' 다 된다는 식이니 어떻게 봐도 21세기 기준으로 정상적인 도박 영화는 아닙니다. 그냥 도박하는 무협 영화라고 보시면 될 듯 하구요.


 이 어처구니 없는 장면들과 상황들을 합리화하는 건 오직 하나. 당시 최고 스타였던 주윤발의 존재감입니다. 이 분의 여유로운 미소와 그 시절 스타일로 우아한 몸동작들을 보고 있으면 뭐 그냥 그러려니 하는 거죠. 어쨌든 폼 나니까. 우리 윤발이 형이니까!!!! 밀키스!!!!! ㅋㅋㅋ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도박을 하시는지 초능력 무협 대결을 벌이시는 건지. ㅋㅋ)



 - 그리고 그렇게 당시 홍콩 탑스타들을 구경하는 재미는 참으로 좋습니다. 주윤발, 유덕화의 주름 하나 없이 매끈 탱탱한 얼굴과 젊다 못해 풋내까지 느껴지는 연기를 보고 있노라면 무념무상으로 그냥 웃음이 나오구요. 게다가 이 영화에 유덕화 여자 친구역으로 나오는 분은 무려 왕조현님이시란 말이죠. 포스터에 없어서 (그리고 사실 역할도 별 거 없어서) 까먹고 있다가 이 분 얼굴이 화면에 짠! 하고 등장하는 순간 오오... 그저 빛. ㅋㅋㅋㅋ 나름 장민도 나오긴 하지만 이 분 비중은 더욱 하찮아서 패스하구요.

 이런 당시 청춘스타들 말고도 오맹달이라든가, 성규안씨도 나오는 것인데요. 이 분들은 모두 근래에 고인이 되셨죠. 그래서 괜히 숙연한 맘이 들기도 했습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명복을 빕니다.)



 - 마지막으로 그렇게 크게 장점 같지는 않은 장점 하나를 들자면...

 영화가 되게 종합 선물 셋트 같은 느낌이 강합니다. 일단 도박을 하지요. 그리고 무술 액션을 합니다. 나중에 가면 총격전이 벌어지면서 우리 윤발이 형이 쌍권총 다루는 모습도 볼 수 있구요. 도신이 '초콜렛' 모드일 때는 코미디가 강하고, 그러면서 후반으로 가면 의리와 복수로 뒤엉킨 다크한 드라마도 살짝 나와요. 그러니까 리즈 시절 홍콩 영화를 좋아했던 사람들이 바랄만한 요소들이 영화 한 편에 와장창 때려 박혀 있는 셈입니다. 아마 당시에 이 영화가 그리 인기를 끌었던 것도 그런 요인이 컸겠죠.


 그리고 이 요소들이 대부분 평타 정도는 해줘요. 얽혀 있는 모양새가 워낙 느슨해서 요즘 기준으로 볼 땐 영 낙제점입니다만. 어디까지나 당시 기준으로다가. ㅋㅋㅋ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그러고보면 그 시절 국딩과 중딩들은 한자를 참 잘 읽었어요.)



 - 종합하자면 이렇습니다.

 2022년(!) 관객들의 기준으로 볼 때 넘나 허술하고 느슨하며 모자란 구석이 많은 영화입니다. 추억팔이 이외의 용도로는 전혀 추천할만한 작품이 못 되구요.

 다만 애초에 '추억의 영화 한 편 때린다' 라고 생각하고 본다면 또 썩 괜찮습니다. 모자란 구석들까지도 '허허 당시 홍콩 영화들이 저랬지'라며 웃고 넘길 수 있고.

 또 워낙 다양한 스타일을 때려 박아 놓은 데다가 캐스팅도 주윤발, 유덕화, 왕조현에 오맹달, 성규안이면 대략 훌륭하지 않습니까.

 고로 두 시간 동안 셀프 추억팔이 잘 했습니다 저는. 다만 당시 홍콩 영화들에 추억이 없으신 분이라면 그냥 안 보시는 게 옳다는 거. ㅋㅋㅋ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추억은 힘이 매우 세십니다!!!)



 + 왕정 감독 영화들이 대체로 좀 그랬던 것 같은데. 이것저것 유명한 영화들 요소를 짜깁기한 게 노골적으로 눈에 띕니다.

 일단 정장 입고 몸 날리며 쌍권총 휘두르는 주윤발은 당연히 '영웅본색'의 셀프 패러디겠고.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천재를 데리고 다니며 카지노에서 돈 버는 건 '레인맨'이고요. 주윤발이 초콜렛에 집착하는 건 아마도 '이티'에서 따왔겠죠.

 메인 테마 음악처럼 주구장창 흘러나오는 짧은 음악은 'Raindrops Keep Fallin' On My Head'의 후렴구를 그대로 갖다 썼음이 분명하고. 심지어 '전함 포템킨'의 유모차 장면을 베낀 장면도 나오는데... 아마도 직접적인 레퍼런스는 '전함 포템킨'이 아니라 '언터처블'이었을 듯. ㅋㅋㅋ



 ++ 유덕화의 액션씬 중에 유덕화 본인이 직접 한 스턴트 장면이 두 번 정도 나옵니다. 매번 '봐라! 유덕화 본인이다!!'라는 느낌으로 빡세게 슬로우모션을 걸어줘서 모를 수가 없는 것인데요. 뭐 슬로우모션과 카메라 시점 장난 같은 걸로 위험해 보이게 만든 안 위험한 장면들이었습니다만. 그래도 좀 재밌더라구요. 유덕화가 젊을 때는 이런 것도 했구나... 했네요.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 그러고보면 영웅본색 때문에 성냥개비 물고 다니던 녀석들 천지였듯이, 이 영화 보고 와서 트럼프 섞고 넘기는 묘기 흉내내는 녀석들도 진짜 많았습니다. 참 좋은 시절이었죠. 그런 데 하루 몇 시간씩 투자하면서도 인생 급할 게 없었으니. ㅋㅋ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3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7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20
118307 Peter Bogdanovich 1939-2022 R.I.P. [2] 조성용 2022.01.07 252
118306 100분 토론 이재명 후기 [7] 무도 2022.01.07 1181
118305 [영화바낭] 임신 및 출산 재난 드라마 '십개월의 미래'를 봤습니다 [16] 로이배티 2022.01.06 806
118304 [씨네플러스 채널] L.A. 컨피덴셜 [스크린 채널] 트레이닝 데이 [13] underground 2022.01.06 431
118303 (영화바낭)엑스 마키나를 봤어요. [3] 왜냐하면 2022.01.06 380
118302 잡담 일반 (새해 덕담, 조코비치, 코로나 백신 등) [12] 양자고양이 2022.01.06 577
118301 넷플릭스에서 '빅뱅이론', '모던 패밀리'가 사라졌습니다. [10] 영화처럼 2022.01.06 1050
118300 이준석 이야기 [23] MELM 2022.01.06 1808
118299 옛날 한국영화에 대한 불만 [8] catgotmy 2022.01.06 631
» [영화바낭] 추억의 탑골 홍콩 무비 '도신: 정전자'를 봤습니다 [18] 로이배티 2022.01.06 727
118297 이런저런 일상 잡담 메피스토 2022.01.05 280
118296 덧없음에 관하여 [9] 예상수 2022.01.05 616
118295 (스포) <프라미싱 영 우먼>을 곱씹어보며 [8] Sonny 2022.01.05 785
118294 배우와 액세서리 [2] 왜냐하면 2022.01.05 353
118293 공작 (2018) [3] catgotmy 2022.01.05 389
118292 김광석은 새삼 대단한 가수였다는걸 생각하는 노래 영상 가끔영화 2022.01.05 301
118291 김종인 선대위원장 사퇴 [4] 적당히살자 2022.01.05 1122
118290 [회사바낭] 자다 깨서 쓰는 회사 바낭.. 좌천(?) 피신(?) [10] 가라 2022.01.05 773
118289 <생 로랑>을 보다가 daviddain 2022.01.04 1163
118288 만달로리안 재밌게 보셨다면 [6] Lunagazer 2022.01.04 70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