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탄신일

2021.05.19 19:18

어디로갈까 조회 수:877

일주일 째 사경을 헤매는 느낌으로 끙끙 앓았습니다. 어디가 고장난 건지 알 수 없는 녹다운이었어요. 보스에게만 출근불가를 알렸을 뿐 차마 가족에게는 말하지 못하고 침대에 파묻혀 제 목소리로 신음소리만  제 귀에 전하며 견뎠어요.
어제부터 희미하게나마 의식이 돌아왔는데, 오늘도 출근하지 못한 것에 죄의식을 갖고 있었더니 아니, '부처님 오신날' 공휴일이군요. - -:

서양에는 부활절, 성령강림절, 예수승천일, 성체축일, 크리스마스 같은 종교적 기념일이 많습니다. 부활절을 맞이하면 학생들은 2주 간 방학하고, 예수승천일이나 성체축일은 학교에 가지 않아요.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3주 간  방학이고요. 그렇게 사회 전체가 종교적 기념일들과 맞물려 돌아갑니다. 비록 현대 사회가 종교적인 과거를 벗어난지 오래이지만, 사회의 시간 감각과 종교적 기념일들은 여전히 일치합니다.
저 같은 이교도의 시간 감각으로도 종교적 기념일들에 적응하면서 역사 속에서 어떤 일치가 발휘하는 힘을 느낄 정도이니까요. 

이러한 삶의 습관은 Feiertag이라는 단어에 담겨 있는데, 휴일을 뜻하는 독일어 명사입니다. 이 말은 기념하다라는 의미를 지니는 Feier와 날을 뜻하는 Tag로 구성돼 있어요. 영어의 holiday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의미이고, 우리가 흔히 쓰는 기념일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석가탄신일은 불교계가 크리스마스에 항의하여 생겨난 휴일이죠. 다르게 해석하자면 불교의 역사는 그토록 장대한데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삶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유교 사회가 길게 유지되었던 결과일 수도 있겠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종교적 공휴일에 대한 의식은 발전해 본 적이 없지 않나요? 한국의 전통적인 절기란 모두 농업사회의 시간 감각을 따르고 있는데, 그런 시간 감각에 종교적 공휴일이 파고들어가지 못했다는 건 직시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크리스마스와 부활절은 기독교의 종교적 이념이 당시 이교도의 시간감각에 따른 절기들에 적응한 결과이고, 유럽 사회의 종교적 기념일들은 기독교적인 기념일이면서도 동시에 이면에는 그들의 시간감각에 맞는 절기들이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는 어느 종교이든 이런 식으로 토착화하여 한국인의 본래적인 시간 감각과 일치해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 제가 잘 모르고 있는 건지요?

덧: 저는 한낱 물질이 아닌 생명체이니까 어떻게든 정신을 차려보고자 또 이런 낙서를 해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9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3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75
115804 [영화바낭] 장선우의 '나쁜 영화'를 보았습니다. 이제사. 쌩뚱맞게도. [21] 로이배티 2021.05.19 2721
» 석가탄신일 [17] 어디로갈까 2021.05.19 877
115802 아라가키 유이, 호시노 겐과 결혼 예상수 2021.05.19 672
115801 Charles Grodin 1935-2021 R.I.P. 조성용 2021.05.19 216
115800 신성한 말총머리Il Divin Codino daviddain 2021.05.19 257
115799 연변인이 아니고 연반인 [1] 가끔영화 2021.05.19 515
115798 에스파 신곡 Next Level MV [2] 메피스토 2021.05.19 412
115797 유열의 음악앨범 (2019) [4] catgotmy 2021.05.19 384
115796 분노의 질주 9를 보고 [1] 라인하르트012 2021.05.19 346
115795 이청년 누구일까요 [5] 가끔영화 2021.05.19 555
115794 번 노티스 기억하세요? [13] Lunagazer 2021.05.19 1636
115793 왜? 19금과 15금 [1] 사팍 2021.05.19 473
115792 518 윤석렬 조선일보 [2] 사팍 2021.05.19 659
115791 [넷플릭스in] 미니시리즈 추천 좀 해주세요 [14] 쏘맥 2021.05.18 1628
115790 더 스파이(The Courier , 2020) 봤습니다. [4] 메피스토 2021.05.18 494
115789 [영화바낭] 꽤 독한 풍자극, '퍼펙트 케어'를 봤습니다 [11] 로이배티 2021.05.18 635
115788 일회용 플라스틱 비닐 등등 [3] forritz 2021.05.18 410
115787 악질경찰 (2019) catgotmy 2021.05.18 346
115786 새벽 잡담... [2] 여은성 2021.05.18 467
115785 코로나 완전 해석 [3] 가끔영화 2021.05.18 648
XE Login